EnJinnier

웹 개발 기초 본문

웹 개발

웹 개발 기초

공학도진니 2024. 1. 14. 02:37

방학때 뭐라도 스스로 공부해보고 싶어서 드디어 웹 개발에 발을 들였다.

마땅한 동아리가 없고 기초부터 제대로 쌓고 싶어서 코드잇 1년 구독권을 끊었는데 재밌는것같다.

 

컴공생으로서 막연하게 프론트/백 단어를 사용했는데

재미삼아 들은 입문강의에서 자세히 알게 되어 적어놓는다.

 

개발에는 웹 / 모바일 / 데이터 사이언스(인공지능, 딥러닝) / 게임 / 블록체인 / 임베디드 / IoT 같은 분야가 있다.

 

이때 웹 개발을 기준으로 

클라이언트쪽 개발(프론트엔드 개발)

HTML : 이미지, 글자, 버튼 등이 어디에 들어갈지 결정

CSS : 크기, 색깔, 테두리 선의 굵기 등의 스타일을 결정

JavaScript : 클릭, 타이핑 등 유저의 행동 구현

세가지 기술이 사용됨

프로젝트의 스케일이 커질수록 복잡해지므로

다양한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들이 사용됨

ex. React , Angular , Vue

따라서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려면 HTML,CSS,JavaScript를 배운후 React를 공부해야 함

 

서버 개발(백엔드 개발)

데이터베이스 (SQL / No SQL로 나뉨. SQLD자격증은 2-3월 중으로 따는 것을 목표로 할 예정)
API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요소)

- API개발: Java, Python, Kotlin, PHP, Ruby, JavaScript 중에 골라서 사용. 각 언어마다 그에 맞는 프레임워크가 있음

 

모바일 개발 기준

서버쪽은 웹과 거의 비슷함

주로 프론트엔드 개발자라고 하면 웹사이트 클라이언트쪽 개발자고, 모바일개발자라고 하면 모바일 클라이언트쪽 개발자임

백엔드는 웹/모바일 둘 다 통일해서 백엔드/서버 개발자라고 함

 

사용기술

Swift : iOS앱개발

Kotlin : Android앱개발

 

원랜 개발팀자체를 따로 둬야 하는데 둘 다 동시에 개발하는 크로스 플랫폼(React Native, Flutter)들이 떠오르고 있음

필요한것만 배워서 빠르게 모바일 개발을 하고 싶다면 다트와 플러터,

이미 JavaScript와 React를 할줄안다면 리액트 네이티브가 좋음

 

데이터 분야

데이터엔지니어: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업무를 함.

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 처리 관련 기술

회사가 작으면 백엔드 엔지니어가 처리하기도 함

데이터 애널리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필요한 분석을 함

SQL, Python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머신러닝을 이용해 예측하는 데이터를 만들고 서비스에 도입할 방법을 고안함

Python

머신러닝 엔지니어: 머신러닝을 실제로 서비스에 녹여내는 업무

머신러닝 리서처: 새로운 머신러닝알고리즘을 찾아내거나 기존 머신러닝 알고리즘 개선(석사,박사학위)

 

게임개발

Unity : C#

Unreal Engine : C++

 

임베디드

C 사용. 성능떨어짐

 

 

  

 

 

 

 

 

 

 

 

 

'웹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폰트 모음  (0) 2024.04.04
웹 개발 공부 더 쉽게 하는 사이트  (0) 2024.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