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Jinnier
ec2 기초 본문
보안그룹 vs NACL
보안그룹: 리소스(인스턴스) 단위의 방화벽, stateful, 먼저 적용한 것 순서대로 적용됨
NACL: 서브넷 수준의 방화벽 - 기본적으로 모든 네트워크 차단, stateless, 더 작은 규칙 번호가 우선적으로 적용됨
EIP(Elastic IP) : 기본적으로 인스턴스가 중지됐다가 다시 시작되면 아이피가 바뀜.
따라서 EIP를 설정해놓으면 중지 후 시작해도 ip가 고정됨
#### Storage
EBS: 다른 곳에 구성되어 있는 저장공간.
인스턴스 스토어: ec2가 위치한 서버안에 붙어있는 디스크. ec2를 중지하면 같이 날라감. -> 휘발성 있는 데이터만 저장 ( 그래서 보통 데이터 저장용은 아니고 대신 조금더 물리적으로 가깝게 있기 때문에 고성능으로 지연시간 낮출때 사용)
AMI - 스냅샷들의 집합, ec2 전체에 대한 백업. marketplace에서 서드파티 업체가 만들어둔 것을 사용할수도 있고, 커뮤니티 AMI(신뢰 x)에서도 가져다 사용할 수 있음.
스냅샷 - 볼륨별 백업
인스턴스 중지 - 새로운 물리 호스트에서 재시작 -> 만약 물리적 호스트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중지를 꼭 해야 함. 재부팅은 소용이 없음.
인스턴스 재부팅 - OS단에서만 재시작
기초 네트워크 설정
- public subnet : 인터넷 게이트웨이가 있어서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곳.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을 해주어야 함.
- private subnet : Bastion host. NAT Gateway 사용하여 통신
(NAT Gateway? 네트워크 변환 게이트웨이 -> 외부로 나갈때 ip주소를 변환하여 나감)
트러블 슈팅
에러 메세지 파악하여 내 문제인지 서비스의 문제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
- 연결 시간 초과(connection time out) ->
- 보통 보안 그룹 또는 네트워크 acl이 액세스를 허용해주지 않은 상태
- 인스턴스의 운영 체제에 방화벽이 있음
-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방화벽이 있음
- 호스트가 존재하지 않음
- 연결이 거부됨 ->
- 호스트가 인스턴스에 도달했지만 SSH 포트에서 수신 대기하는 서비스가 없다.
- 방화벽이 차단되었고 패키지를 삭제하는 대신 거부하도록 설정되어 있음.
ec2에 로그 가져오기 기능이 있음. 이걸 확인하면 최근에 찍힌 로그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트러블 슈팅하기 쉬움.
각종 명령어: telnet, nmap, ncat, ..
상태 확인
ec2 클릭 - 상태 및 경보 - 시스템 상태 검사, 인스턴스 상태 검사, 연결된 EBS 상태 확인 3가지 유형을 확인 할 수 있음
시스템 상태 확인 - aws 내부의 문제
- aws 서버의 네트워크, 메모리 나감, 커널 패닉 등의 문제
인스턴스 상태 확인 - 고객의 문제
- 시스템 상태 확인 실패
- 잘못된 네트워킹 또는 스타트업 구성
- 메모리가 모두 사용됨
- 파일 시스템 손상
- 호환되지 않는 커널
연결된 EBS 상태 확인
- 인스턴스와 볼륨간의 연결 문제
- 볼륨에 영향을 주는 하드웨어 문제
* aws CLI를 사용하려면 원래 따로 설치를 해야하는데, aws cloudshell을 사용하면 따로 설치하지않고도 aws CLI를 사용할 수 있음.
'자격증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mplify 리디렉션 오류 해결 (0) | 2024.11.29 |
---|---|
AWS로 프론트엔드 서버 배포하기 (feat. AWS Amplify) (1) | 2024.11.10 |
[SAA-C03] AWS SAA-C03 일주일컷 합격 후기 (3) | 2024.09.27 |
[SAA-C03] Part2: EC2 (2) (1) | 2024.09.20 |
[SAA-C03] Part2: EC2 (3) | 2024.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