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Jinnier
JS Deep Dive - 12. 함수 본문
12.1 함수란?
일련의 과정을 문으로 구현하고 코드 블록으로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것
- 매개변수(parameter): 함수 내부로 입력을 전달받는 변수
- 인수(argument): 입력
- 반환값(return value): 출력

함수 사용의 장점
-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임
- 코드의 재사용
- 실수를 줄여 코드의 신뢰성을 높임
12.3 함수 리터럴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객체 타입의 값임.
따라서 함수도 함수 리터럴로 생성할 수 있으며,
함수 리터럴은 function 키워드, 함수이름, 매개 변수목록, 함수 몸체로 구성된다.

12.4 함수 정의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에는 4가지가 있다.

12.4.1 함수 선언문
함수 선언문은 함수 이름을 생략할 수 없다.
또한, 이름이 있는 기명 함수 리터럴은 코드의 문맥에 따라 함수 선언문 또는 함수 리터럴 표현식으로 해석 된다. (따라서 주의해야함)

함수는 함수 이름으로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함수 객쳬를 가리키는 식별자로 호출한다.
위 의사코드는 밑에서 살펴볼 함수 표현식이다.
결론적으로 자바 스크립트 엔진은 함수 선언문을 함수 표현식으로 변환해 함수 객체를 생성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12.4.2 함수 표현식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 객체이다.
일급객쳬라는 것은 함수를 값처럼 자유롭게 사용할수 있다는 의미다.
함수는 일급객체이므로 함수 리터럴로 생성한 함수 객쳬를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함수 정의 방식을 함수 표현식이라 한다.

함수 리터럴의 함수 이름은 생략할 수 있다 : 익명 함수

위 코드와 같이 함수를 호출할 때는 함수 이름이 아니라 함수 객쳬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사용해야한다. (foo가 아니라 add 사용)
12.4.3 함수 생성 시점과 함수 호이스팅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한 함수: 함수 선언문 이전에 호출 가능 (함수 호이스팅 발생)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한 함수: 함수 표현식 이전에 호출 불가능 (변수 호이스팅 발생)
함수 호이스팅은 함수를 호출하기 전에 반드시 함수를 선언해야 한다는 당연한 규칙을 무시한다.
따라서 함수 선언문 대신 함수 표현식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12.4.4 Function 생성자 함수
자바스크립트가 기본 제공하는 빌트인 함수인 Function 생성자 함수에 매개변수 목록과 함수 몸쳬를 문자열로 전달하면서 new 연산자와함께 호출하면 함수 객체를 생성해서 반환

다만, Function 생성자 함수로 함수를 생성하는 방식은 일반적이지 않으며 바람직하지도 않다.
(함수 선언문이나 함수 표현식으로 생성한 함수와 동일하게 동작하지 않는다.)
12.4.5 화살표 함수
function 키워드 대신 화살표 => 를 사용해 좀 더 간략한 방법으로 함수를 선언
화살표 함수는 항상 익명 함수로 정의한다.
12.5 함수 호출

매개변수는 함수 몸체 내부에서만 참조할 수 있고 함수 몸체 외부에서는 참조할 수 없다.
매개변수보다 인수가 더 많은 경우 초과된 인수는 무시된다.

다만 초과된 인수가 그냥 버려지는 것은 아니고 모든 인수는 암묵적으로 arguments 객체의 프로퍼티로 보관된다.

12.5.2 인수 확인
자바스크립트는 매개변수의 타입을 사전에 지정할 수 없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의 경우 함수를 정의할 때 적절한 인수가 전달되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12.5.4 반환문
반환문(return문)에 관련해서 주의해야 할 사항들
- 반환문은 함수의 실행을 중단하고 함수 몸쳬를 빠져나간다. 따라서 반환문 이후에 다른 문이 존재하면 그 문은 실행되지 않고 무시된다.
- 반환문은 return 키워드 뒤에 오는 표현식을 평가해 반환한다. return 키워드 뒤에 반환값으로 사용할 표현식을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으면 undefined가 반환된다.
- 반환문은 생략할 수 있다. 이때 함수는 함수 몸체의 마지막 문까지 실행한 후 암묵적으로 undefined를 반환한다.
- return 키워드와 반환값으로 사용할 표현식 사이에 줄바꿈이 있으면 세미콜론 자동 삽입 기능에 의해 세미콜론이 추가되어 의도치 않게 표현식이 무시될 수 있다.
- 반환문은 함수 몸체 내부에서만 사용할수 있다. 전역에서 반환문을 사용하면 문법에러(SyntaxError: Illegal return statement)가 발생한다.
12.6 참조에 의한 전달과 외부 상태의 변경
매개변수도 함수 몸체 내부에서 변수와 동일하게 취급되므로 매개변수 또한 타입에 따라
값에 의한 전달, 참조에 의한 전달 방식을 그대로 따른다.

위 코드에서 보는 것과 같이 원시 값은 값이 훼손되지 않고, 객체값은 참조에 의한 전달을 하므로 함수 내에서 바꾸면 원본 값도 변경된다.

복잡한 코드에서 의도치 않은 객체의 변경을 추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객체를 불변 객체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객체의 복사본을 새롭게 생성하는 비용은 들지만 객체를 마치 원시 값처럼 변경 불가능한 값으로 동작하게 만드는 것이다.
12.7 다양한 함수의 형태
12.7.1 즉시 실행 함수
그룹 연산자(...)로 감싸고 끝에 ()를 추가한 함수단 한 번만 호출되며 다시 호출할 수 없음. (그룹 연산자 내에서는 함수 리터럴로 평가되며 함수 이름이 몸체에서만 참조할 수 있는 식별자이므로)


12.7.4 콜백 함수

함수의 변하지 않는 공통 로직은 미리 정의해두고, 경우에 따라 변경되는 로직은 추상화해서 함수 외부에서 함수 내부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짠 함수들이다.
위 repeat 함수는 경우에 따라 변경되는 일을 함수 f로 추상화했고 이를 외부에서 전달받는다.
repeat 함수는 더이상 내부 로직에 강력히 의존하지 않고 외부에서 로직의 일부분을 함수로 전달받아 수행하므로 더욱 유연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함수의 매개변수를 통해 다른 함수의 내부로 전달되는 함수를 콜백함수라고 한다.
매개 변수를 통해 함수의 외부에서 콜백함수를 전달받은 함수를 고차함수라고 한다.
즉, 고차함수는 콜백함수를 자신의 일부분으로 합성한다.
12.7.5 순수 함수와 비순수 함수
순수 함수: 어떤 외부 상태에 의존하지도 않고 변경하지도 않는, 즉 부수 효과가 없는 함수
동일한 인수가 전달되면 언제나 동일한 값을 반환한다.
비순수 함수: 외부 상태에 의존하거나 외부 상태를 변경하는, 즉 부수 효과가 있는 함수
(외부 상태 : 전역변수, 서버데이터, 파일, Console, DOM 등)
함수가 외부 상태를 변경하면 상태 변화를 추적하기 어려워지므로 함수 외부 상태의 변경을 지양하는 순수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스터디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S Deep Dive - 14. 전역 변수의 문제점 (0) | 2024.04.17 |
|---|---|
| JS Deep Dive - 13.스코프 (0) | 2024.04.12 |
| JS Deep Dive - 11. 원시값과 객체의 비교 (0) | 2024.04.02 |
| JS Deep Dive - 10.객체 리터럴 (0) | 2024.03.28 |
| JS Deep Dive - 9. 타입변환과 단축평가 (0) | 2024.03.26 |